[아시아엔 책산책] 고목나무 냄새를 맡다

2016-08-29 09;49;03[아시아엔=이상기 기자] 기자에게 2003년 동안거 결제일 호당(虎堂)이란 법명을 주신 조오현 큰스님이 팔순 되던 ?2012년 유발(有髮) 상좌격인 홍사성·김병무 시인이 스님이 평생 낸?시와 시조를 모아 <고목나무 냄새를 맡다>(책만드는집)를 냈다. 그런데 이를 알게 된 스님이 “쓸데 없는 짓 했다”며 역정냈다고 한다. 평소 뵌 대로 느낀 대로 말하면 그러셨을 수도, 아니 그러셨을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든다.??

1932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39년 입산한 스님은 1966년 시조문학을 통해 등단해 <아득한 성자> 등의 시집을 상재했다. <고목나무 냄새를 맡다>에는 나태주·김병무·송준영·신달자·이근배·이학종·임효림·최동호·홍사성·홍성란·신경림 등의 시와 시평이 실려 있다. 불교계 신문기자 출신인 이학종 시인은, 시 ‘노승의 말씀’에서 이렇게 지었다.

(중략)장삼 주머니에서 뭔가를 주섬주섬 꺼내들며, 자글자글한 주름이 출렁이도록 하시는 말씀, “내 이번에 스마트폰 하나 샀다~!”

 

<불교평론> 홍사성 주간은 ‘송구영신’을 통해 스님을 이렇게 표현했다.

백담사 큰스님이 수자들에게 말했다. 여름 석달 동안 보고 듣고 마신 것 있으면 다 버리고 가시오. 겨울 석달 맛본 것 다 가지고 오시오. 큰스님이 이랬다저랬다 하다니, 수자들은 그 속내가 궁금했다. 수자들은 겨우내 얼었던 얼음이 뭔지 알아듣고 조금씩 몸을 풀기 시작했다.

서울대 교수를 지낸, 소설가 황순원의 아들 시인 겸 평론가 황동규 2006년 가을 ‘사라지는 것들’이란 제목의 시를 지었다.

(중략)고비마다 너럭바위에 밧줄이 긁어만든 험한 금들, 지구가 인간에게 끌린 자국들은 이제 인간 속에 남게 되었는가. 장강의 물줄기를 멈추게 하던 인간의 궁둥이들이여.

이에 조오현 시인은 황 시인에게 동문서답한다.

(중략)사람이나 짐승이나 허연 거품 무는 것은?그 사이 해갈의 몸에 상처같은 엉구름.

일찌감치 조오현 스님과 <열흘간의 대화>를 이어간 바 있는 신경림 시인은 ‘곁에서 본 오현스님’이란 글을 통해 “가장 승려답지 않은, 가장 승려다운 사람”이라고 했다.

시인 오세영 전 서울대 교수는 조오현 스님을 “우리시대에 보기 드문 보살행의 사문”이라며 그와의 인연을 말한다.

옆에서 가만히 지켜보면 스님 곁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몰려든다. 속세에 높은 관직을 가진 권력가가 있고, 언론인·교수·문인·대통령 측근···. 사실 나는 아직까지도 굳이 그런 사람들이 스님을 찾아오는지 모른다. 내가 그 이유를 아는 날 난 다시 오현론을 쓸 수 있을 것이다. 그런가 하면 물론 이름 없는 중생, 장삼이사의 민초들이나 촌로·촌부·불교신도들은 더 말할 나위 없다. 나름대로 삶의 평화만큼은 느끼고 돌아간다는 사실이다. 그리하여 나는 이따큼 오현스님이 큰 나무요 대중들이 그 정자나무에 몰려든 사람들이라고 한다.

만해마을에서 수년간 만해축전 등 살림을 도맡다 고향 속초에서 시짓기에 몰두하고 있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소’ 시인 이상국은 ‘미시령 편지’에서 이렇게 쓰고 있다.

백담사 큰스님이 그러는데,

설악산 꼭대기에서도 샘이 나는 건

지구가 자꾸 도니까

가장 높은 데가

가장 낮기 때문이란다.

나는 왜 그 생각을 못했을까



Leave a Reply